正德: [명사]〈역사〉 정덕. 명대(明代) 무종(武宗)의 연호(年號)(1509正德1521).西夏: [명사]〈역사〉 서하. [당말(唐末)에 이원호(李元昊)가 감숙성(甘肅省)에서 내몽고 서부에 걸친 지역에 세운 나라. 몽고(蒙古)에게 망함(1038西夏1227)] =[大Dà夏(3)]正德 (明朝): 정덕 (명)正德 (日本): 쇼토쿠 (연호)正态分布: [명사]〈수학〉 정규 분포. 정상 분포.正德 (1711–1716): 쇼토쿠 (1711 ~ 1716)正戊烷: 펜테인正成单: [명사] (거래의) 본 계약서.正往站: 정왕역正房: [명사](1)정방. 원채. 본채. [중국의 전통가옥 구조인 ‘四合房(儿)’에서 정면에 있는 채를 말하며 원칙적으로는 북쪽에 위치한 남향의 건물로 횡으로 세 칸 또는 다섯 칸으로 되어 있음. ‘正房’의 한가운데 있는 방을 ‘堂屋’라고 하는데 옛날에는 조상을 모시는 제단(祭壇)이 놓여지기도 했으며, 의자·탁자를 갖추어 응접실 또는 거실로 이용하기도 했음. ‘堂屋’의 좌우에는 입구가 있어 ‘里间(屋子)’, 즉 ‘里屋’와 통함. ‘里间’은 가장(家長) 내외나 자녀들의 ‘卧房’으로 이용되었는데, ‘里间’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‘堂屋’를 ‘外间’이라고도 불렀음. ‘里间’의 구석으로 또 하나의 방인 ‘耳房’이 있으면 합해서 다섯 칸이 됨. ‘正房’은 다른 채보다 높고 크게 짓는 것이 보통이며, ‘上海式楼房’에서는 ‘正房’을 ‘前楼’ 또는 ‘前房’이라고 함] =[正所儿] [正屋] [上房(1)] [上屋] [堂屋(2)] [主房](2)본처. 정실. =[妻] [大老婆]